" 왜 똑같이 일하는데 누구는 부자가 되고, 누구는 가난할까?"라는 물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을 가고 좋은 직장에 들어가면 된다."는 말 많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정말 이 길이 경제적 자유로 가는 정답일까요?
로버트 기요사키의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는 단순히 자기 계발서가 아닙니다.
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지 못하면 평생 돈의 노예가 된다는 아주 강렬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바쁜 일상에 책 읽을 시간이 없다면 이 글을 통해 쉽고 빠르게 핵심만 정리해 보시길 바랍니다.
1. 부자아빠 vs 가난한 아빠
1. 돈에 대한 교육이 학교가 아닌 가정에서 이루어집니다.
▶ 학교는 '돈 버는 법'을 절대 가르쳐 주지 않습니다.
▶ 부모가 가난한 사고방식이면 자녀도 돈에 대한 잘못된 믿음을 가지게 됩니다.
2. 자산과 부채의 개념을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 자산 : 주머니에 돈을 넣어줍니다. (예 : 배당주, 임대 부동산, 콘텐츠 저작권 등등)
▶ 부채 : 주머니에서 돈을 빼가는 것입니다. (예: 자동차 할부, 주택담보 대출, 신용카드)
※ 부자는 자산을 사고 또 삽니다. 가난한 사람은 부채를 자산이라고 착각합니다.
3. 자본 이득보다 현금 흐름에 투자해야 합니다.
▶ 자본 이득 (시세차익) 중심의 투자는 위기에 취약합니다.
▶ 부자는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는 자산에 집중합니다. 매달 현금이 들어오면 경제적 자유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2. 돈의 '새로운 규칙'이 필요합니다.
1. 낡은 규칙은 저축하라
▶ 1971년 금 본위제 폐지 이후, 달러는 단순한 종이입니다.
▶ 정부는 돈을 무제한 찍어내며, 인플레이션은 저축의 가치를 잃어버립니다.
2. 새로운 규칙은 돈을 쓰되 현명하게 써라
▶ 쓴다는 개념은 곧 소비가 아닌 투자로 이해해라
▶ 패시브 인컴, 자산이 나 대신 일하게 하고 자고 있어도 수입이 들어오는 구조를 만듭니다.
3. 생각의 차이
항목 | 부자아빠 | 가난한아빠 |
집 | 가장 큰 부채 | 최고의 자산 |
위험 | 관리하는 법을 배워야 함 | 피해야 함 |
자녀교육 | 돈이 일하게 만드는 방법 | 좋은 직장 |
책임감 | 스스로 책임 | 정부와 회사가 해결 |
3. 부자가 되기 위한 8가지 돈의 규칙
1) 돈은 곧 지식입니다.
금융 지식이 없으면 손해를 보거나 속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보가 곧 수익이 되는 시대입니다.
2) 좋은 빚과 나쁜 빚을 구분합니다.
신용카드는 나쁜 빚입니다.
부동산 투자 대출은 좋은 빚입니다.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을 때입니다.)
3) 현금 흐름을 통제합니다.
어디에서 돈이 들어오고 어디에서 돈이 나가는지 항상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4) 위기를 기회로 이용합니다.
공황상황에서는 금, 은 같은 자산이 안전핀 역할을 합니다.
5) 돈의 속도에 맞추어 움직입니다.
느린 월급인상 보다 빠른 자산 회전력이 필요합니다.
6) 돈의 언어를 배웁니다.
회계, 투자, 자산 용어를 알면 속지 않을 수 있습니다.
7) 혼자 하지 말고 팀을 구성합니다.
변호사, 회계사, 투자 전문가와 함께 전략을 구상합니다.
8) 자신만의 돈을 만들어내는 법을 배웁니다.
자산을 만들오 수익을 회수하고 계속 돈을 벌게 만듭니다.
4. 실제 경험 : '현금 흐름'의 개념을 이해한 순간
저도 역시나 열심히 일해서 돈을 모으고 은행에 넣는 것이 최고이며 최선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러다 금리 1%대의 시절 저축만이 안전한 답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러던 중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를 읽게 되었고 소액이라도 매달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자산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월 몇 천 원, 1년 후에는 커피 한 잔 값, 지금은 교통비 수준의 현금흐름이 들어옵니다.
적금으로 돈을 모을 때와는 다른 아직 적은 돈이지만 심리적 여유로 이어졌습니다.
"그래, 내가 자고 있을 때도 돈이 일을 해서 돈이 들어올 수 있구나."
5. 마무리 : 돈이 아닌 '시스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는 말합니다.
"돈을 위해 일하지 말고, 돈이 당신을 위해 일하게 하라."
부자가 되기 위한 출발점은 절약이 아니고 '시스템 (현금 흐름 자산)'이라는 사실을 이해해야 합니다.
저의 글이 여러분들에게 '돈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